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는 원인과 커피의 효과에 주목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커피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이는 과정이 밝혀졌다고 하는데....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커피가 제2형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의료센터 연구원인 Carolina Ochoa-Rosales 등 연구팀은, 커피와 제2형 당뇨병 위험 감소와의 연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
연구 대상으로 된 데이터는, 영국의 "UK 바이오뱅크"와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연구"라는 두 개의 대규모 연구에서 수집되었는데, "UK바이오뱅크"에는 2006년 4월~2010년 12월 조사에 참여한, 영국인 50만2536명의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 중 제2형 당뇨병 진단정보와 같은 데이터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추출했더니 14만5368명분의 기록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로테르담 연구는 1990년부터 현 시점에서도 계속되고 있는 연구로, 이번 분석에는 총 1만4929명의 참가자 중 7111명분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연구팀이 총 15만 명이 넘는 대규모 데이터셋을 이용해, 커피 소비량과 당뇨병 진단 정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커피 소비량이 하루 한 잔 늘어나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4~6%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조사 참가자들의 커피 소비량은 하루 0~6잔으로 편차가 있었는데, 그동안 마시던 양에 관계없이 커피 한 잔을 추가하면 유익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커피의 마시는 방법은 "디카페(카페인리스) 커피", "인스턴트 커피", "원두를 갈아 마시는 방법(필터 드립과 에스프레소)"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에서는 "원두를 갈아 마시는 방법"이 가장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또한, 담배를 끊었거나 피운 적이 없는 사람도 커피의 유익한 효과를 받기 쉬웠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만, 너무 많이 마시면 카페인을 과다 섭취할 우려도 있어, 연구자들은 성인의 하루 카페인 섭취량은 400mg까지, 커피로 하면 35잔이 기준이라고 밝혔고, 또한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은 카페인 섭취량을 절반인 200mg으로 억제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Ochoa-Rosales 씨 등이 특히 주목한 것은, "염증성 바이오마커"인데, 사람이 다치거나 감염병에 걸리면, 그에 대한 방어반응으로 "급성염증"이 일어나는데, 비만 등으로 인해서도 저수준의 염증이 체내에서 계속 발생하는 "만성염증"이 야기된다. 이 만성 염증이 제2형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내장의 기능 부전이나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함에 따라,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제2형 당뇨병은 만성 염증 질환이다"라는 견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커피를 마시면 체내 C반응성 단백질과 렙틴 등 염증성 바이오마커 수준이 낮아졌고, 반면 "항염증성 바이오마커"인 아디포넥틴과 인터류킨13은 증가. 따라서 커피를 마시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은, 커피가 만성 염증을 억제하고 이것이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기 때문이 아닐까 연구팀은 생각하고 있다.

논문의 공저자인 엘라스무스 의료센터의 Trudy Voortman 씨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커피 섭취량이 많을수록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다는 결과를 얻었지만, 그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불분명했습니다. 그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커피가 체내 염증 바이오마커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2형 당뇨병은 염증성 질환으로서의 측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메커니즘의 하나가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식견은 염증과 관련된 다른 만성질환에 대한 커피의 효과에 대한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