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이나 디자인 등에 임하고 있을 때, 아이디어가 아무리 해도 떠오르지 않거나, 작품이 뻔한 것처럼 보이거나, 구상이나 작업이 정체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그런 창의적인 매너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작가이자 집필이나 편집에 관한 조언을 하는 디렉션 회사에 근무하는 허버트 루이 씨가 세 가지 힌트를 제안하고 있는데....
창의성에 막힌 많은 창작자들은, "빛나는(인스퍼레이션)"을 추구한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2020년경까지 활약한 화가의 척 클로즈씨는 "영감을 요구하는 것은 아마추어입니다. 우리는 그저 일에 착수할 뿐입니다. 일을 통해, 단지 아이디어를 찾고 영감을 찾을 때는 결코 생각하지 못했던 다른 가능성에 부딪혀 새로운 문을 열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또 파블로 피카소도 "인스퍼레이션은 존재하지만, 모든 것은 창작활동 속에서 발견된다"는 말을 남겼다.
창작에 막히면 영감을 구하는 것 외에 무엇을 하면 좋을까 하는 힌트 세 가지를 알아보자.
1 : 주사위를 굴린다
창조성을 열기 위해 제안 된 첫 번째 방법은, "주사위에 맡겨 보는 것"이라고...."컨트롤을 내려놓고 카오스를 도입하는 것은, 창조성을 기르기 위한 열쇠의 하나입니다. 자신의 결단에 폐색이나 막힘을 느낀 적이 있는 경우는, 창조적인 일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찬스에의 문을 주사위로 열어 보세요"라고 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필하는 손이 멈췄을 때, 사전을 무작위로 열어 보거나, 무작위 단어를 생성하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해서, 뭔가 스스로 생각해내기 어려운 단어를 발견해 본다. 가까운 문학의 테크닉으로서 Oulipo라고 하는 문학 그룹이 실시하는 집필 방법이 있는데, Oulipo에서는 특정의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문장을 쓰는 "리포그램", 어떤 문장의 단어를 사전의 7개 뒤의 문자로 치환해 가는 "S+7"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어휘나 표현력의 자기증식을 재촉하고 있다.
또, 어떠한 선택으로 헤맸을 때에는, 다이스롤이나 코인토스 외에, 다른 사람의 의견을 채용하는 것도 OK. 우연은 창조성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고, 망설였을 때의 결정 방법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가능성을 넓히는 것도 가능.
2: 결과에 신경쓰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의 경우, 일을 잘함으로써 조금이라도 좋은 결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자신의 상황이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루이 씨에 따르면 이 같은 신념은 모두 진보는 직선적이라는 잘못된 과정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
창의성을 위해 "결과에 신경 쓰지 않는다"는 힌트의 예로, 루이 씨는 노벨상 수상자 리처드 파인먼의 일화를 인용. 파인먼은 학창시절 미술 수업에서 "종이를 보지 않고 그림을 그리겠다"는 지시를 받았던 일을 종종 떠올린다고 한다. 종이를 보지 않고 예쁜 선이나 잘 그리는 그림을 그릴 리가 없으니, "잘 그리자"고 의식하지 않은 결과, 자신의 작품에 "마치 피카소 같은 강인함이 있다"고 깨달았다. 파인먼은 "'힘을 뺀다'는 것은 '적당히 그림을 그리다'라는 뜻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림의 마무리를 신경 쓰지 않고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었습니다"라고 말한다.
책을 집필하고 싶다면, 먼저 노트에 한 개의 문서를 적어보는 것이 중요. 그림을 그리고 싶은 경우에는, 먼저 스케치의 선을 그어야 시작이 된다. 완성된 결과의 이미지에 너무 집착하면, 그에 걸맞은 시작이 떠오르지 않거나 이상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길에 절망해 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먼저 떠오른 것에 따라 하고 싶은 일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루이 씨는 말한다. 또 목표를 "무엇을끝낸다"라고 하지않고, "무엇이든 시작한다"라고 하는것도 중요하다.
3 : 드래프트, 데모, 스케치
문장의 집필에서는, 플롯이나 초안, 계획 단계의 서면등을 "드래프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음악이나 소프트웨어의 미완성 단계는 "데모". 그림이나 디자인계의 작품은, 러프화나 프레임워크등을 포함해 "스케치"라고 되어 각각 모두 최종적인 작품의 작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예비 작업은, 제작 과정에서 덤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작성 중인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매우 중요. 루이씨에 의하면, 예비 단계의 작품은 "결과에 대한 기대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며, 미완성이고 결함도 많은 단계이기 때문에 "자기 비판을 억제", 아직 잘못이 있어도 괜찮다는 "심리적 안전성"을 서포트해 준다고 한다.
게다가, 프로젝트의 각각의 단계나 버전을 일단 완성으로 보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는 있지만, 최종적으로 발표하거나 출시한 작품조차도 전체적으로 완성으로 볼 필요는 없다. 파블로 피카소는 "캔버스에는 '완성되었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단지 한 장의 회화의 다양한 상태가 존재할 뿐입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드래프트, 데모, 스케치의 의식이라는 것은, 작품은 항상 완성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주의와 같은 정신에 짓눌리지 않아도 된다는 가르침인 동시에 반대로 말하면, 아직 제작 단계임이 분명한 작품이라도 남의 눈에 띄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는 교훈아다. 가장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은 작가가 궁극적이라고 선언하는 작품이 아닐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