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어린 시절에 어던 환경에서 지냈는지는, 장래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보여져 왔다. 한편, 사람의 인생에 "유전자"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새롭게 교육수준, 직업적 지위, 수입에 대해 유전적 차이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이 이루어졌다.

부모가 초래하는 사회경제적인 환경이 자녀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확인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계승되는 "유전자"가 자녀의 교육 수준, 직업적 지위, 수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래서, 핀란드에 있는 투르크 대학의 Jani Erola 교수등 연구팀은, 1975년부터 1986년까지 태어난 6529 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교육 레벨, 직업적 지위, 수입의 차이가 유전적인 차이와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는지", "유전적인 영향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서 바뀌는가"를 분석했다.
분석 대상의 데이터에는 쌍둥이가 28세가 될 때까지의 각각의 교육 수준, 30세 시점의 직업적 지위, 32~36세의 수입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분산분해를 이용했다고 한다.

분석 결과, 밝혀진 것은 크게 5가지. 첫번째는, 교육 레벨, 직업적 지위, 수입 가운데 유전적 영향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교육 레벨"로, 반대로 영향이 작었던 것은 "수입"이었다고 한다.
또한 두 번째 발견으로서 연구팀은 "사회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하다"고 분류된 그룹에서는 두 항목 모두 유전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세 번째 발견은, "유전적 차이가 자녀의 인생에 영향을 주는지 아닌지는 부모가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한 상황일 때, 자녀가 몇 살이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 아주 어린 시절에 부모가 부유했다고 해서 별로 아이의 장래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네 번째 발견은 세 번째 발견과 마찬가지로 "시기"에 관한 것이므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유전적 차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육 레벨, 직업, 수입 중 시계열적으로 빠른 교육수준이라는 것. "직업적 지위"에 대해서는, 사회인에 이르기 전의 "교육 레벨"에 좌우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교육 레벨이나 직업적 지위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수입"에 대해서는, 별로 영향이 인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연구자는 흥미로운 점으로서, "어린 시절의 부모와의 관계인 "공유 환경"은 인생의 교육 레벨, 직업적 지위, 수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정 이외의 환경인 "비공유 환경"의 영향이 컸던 것"을 들고 있다. 특히 경제적으로 유리한 가정의 자녀는 비공유 환경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 것이다.
사회적 불평등의 유전적 배경은 별로 연구되지 않은 부분이지만, 아이는 가정, 유전자, 성장하는 환경 등 많은 요소에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유전자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창출할 수 있다고 Erola 교수는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