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를 할 때마다 양말 한 짝이 실종돼 버린다....덕분에 서랍에는 양말 한 짝만 돌아다닌다는 사실....
이 인류를 괴롭혀왔던 미스터리가 마침내 밝혀졌다.
미스터리를 밝힌 사람은 심리학자 사이먼 무어 박사와 통계학자 제프 엘리스 박사이다. 두 사람은 무려 2000명이나 되는 세탁기 안을 봐줄 사람을 모집했다.
■ 양말을 잊어버릴 확률 방정식
이에 따르면, 양말의 행방불명을 좌우하는 주된 요인은, 세탁물의 양과 복잡함, 심지어 세탁하려는 인간의 의욕이라고 한다. 조사에서 도출된 "양말 소실 인덱스"는.....
가족의 수와 주당 세탁 횟수를 통해 세탁물의 양을 구하고, 세탁의 종류와 투입하는 양말의 수에서 구한 세탁물의 복잡성을 더해준다.
이렇게 해서 얻은 수치로부터 세탁에의 적극성(1~5. 1이라면 세탁이 제일 싫어, 5라면 세탁이 제일 좋아)과 주의력(세탁전에 주머니를 확인하는 회수, 옷을 제대로 표면화한 회수, 소매나 양말을 제대로 편 회수로 계측)을 곱한 것....이것이 양말이 실종될 확률이다.
■ 양말 한쪽이 실종되는 원인도 밝혀져
이 조사에서는, 양말이 실종되는 주요 원인도 밝혀냈다.
예를 들면, 건조중에 라디에이터 뒤에 떨어져 버린다. 가구 위에 놓고 잊어버린다, 양말의 한쪽이 따로 씻을 예정의 세탁물에 섞여 버린다, 빨래 건조대로부터 날아가 버린다, 다른 양말과 혼합되어 버린다.
이 조사에서, 영국에서는 1인당 월평균 1.3켤레의 양말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1년이면 15켤레, 평생이면 1,264 켤레나 된다. 양말 소실에 따른 손해는 1인당 생애 약 2,528 파운드(약 400만원), 연간 20억 파운드(3조 2천억)에 이른다.
아울러 양말 소실 사건과 관련해 남성이 범인일 가능성은 높다. 세탁을 좋아하는 남성은 불과 26%에 지나지 않는다고....
■ 양말이 소실되는 심리적 요인
아울러 양말 소실과 관련된 4가지 심리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책임의 분산
세탁자가 자기 이외의 인간에게 책임을 떠넘기기 때문에, 아무도 잃어버린 물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결국 양말은 찾지 못하게 된다.
2. 시각적 인식(휴리스틱)
휴리스틱이란,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간단한 해법과 법칙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반면, 꼭 옳은 것은 아니며 판단결과에 편견이 있는 경우도 많다. 이 편견 때문에 양말이나 텔레비전 리모컨 등이 평소 자리에 없으면 잃어버렸다고 믿게된다.
3. 확증 바이어스
사람들은 진실이기를 바라는 것을 진실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번 사례에서 말한다면, 사람이 둘 다 갖춰지지 않은 양말이 눈에 들어오지 않으면,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믿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4. 과실, 과태료
여러가지 사고나 수수께끼의 배경에는 휴먼 에러가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바닥에 양말이 떨어져 있는 것을 보더라도, 그것을 주워 빨래 바구니나 세탁기 안에 넣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는 과태료다. 혹은 색이 짙은 세탁물 속에 흰양말을 넣어버리거나 한쪽만 적당한 장소에 놓아 버리거나 할 수 있다. 이것이 과실이다.
■ 양말 한쪽을 잃어버리지 않는 방법
가능한 한 양말을 잊어버리고 싶지 않다. 혼자는 자기 혼자로 충분하다. 짝양말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몇 가지 해법은 있는 것 같다.
1. 양말용 세탁함 만들기
양말은 양말 전용 세탁함에 넣어두자. 이렇게 하면 큰 빨래속에 뒤섞여 실종되는 일이 없고, 잃어버렸던 양말도 쉽게 찾을 수 있다.
2. 씻을 때는 짝을 지어
세탁기에 넣기 전에 짝을 확인한 뒤 클립으로 끼워 놓거나 입구를 두개 모아 뭉쳐두자. 이렇게 하면 빨래의 파도에 휩쓸리는 일도 없다.
3. 언젠가 다시 만날 꿈에 양말 전용박스를 설치하자
더이상 잊어버리지 않는 다는 것이 전제이므로, 같은 색으로 같은 타입의 양말을 최저 3켤레는 사도록 하고, 이렇게하면 짝이 없어도 새로운 짝을 만들수 있다....그냥 손에 집히는대로 신자..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