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요통"에 걸렸을 때는 절대 안정을 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지도 모르지만, 운동을 하는 것은 통증을 완화시키고 장기적으로 허리 통증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요통에는 운동이 효과적인가?"라고 하는 의문에 대해서, 아일랜드 왕립 외과 의학원에서 건강, 재활학의 교수를 맡고있는 Suzanne McDonough 씨가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요통에 걸리면 움직이지 말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뭔가 운동을 하는 것이 통증이 덜하고, 그 후에도 요통이 재발이 안된다는 것. 정기적인 움직임이나 운동은 몸의 강도나 내구력,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며 급성 요통 발작으로부터 더 빨리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신체적으로 계속 활동하는 것이 요통을 관리하는 가장 넓고 일관되게 권장되는 이유 중 하나라고 McDonough 씨 등은 말한다.
이처럼 요통에는 운동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여전히 운동이 요통의 경감에 도움이 되는 이유와 통증 경감에 최적의 운동량에 대해서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운동이 요통을 완화시키는 이유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운동이 척추 주위나 복부 근육을 강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생각은 연구 결과로부터도 부분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하는데, 운동이 요통을 완화시키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McDonough 씨 등에 의하면, 최근에는 "운동이 뇌를 포함한 신경계 기능에 유익한 변화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가 늘고 있다"라고 증가하고 있다는 것. 운동이 잠재적으로 유해한 자극에 대한 감수성을 저하시켜 통증을 경감시키는 현상은 "exercise induced hypoalgesia(운동유발성 진통)"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만성통증이 없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5분간의 사이클링이나 달리기와 같은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한 사람은, 이후 30분 동안 통증의 감수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운동유발성 진통은 몇 가지 메커니즘에 의지하고 있으며, 가령 운동의 "엔도카나비노이드,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엔돌핀, 세로토닌과 같은 물질의 분비를 촉진시켜, 통증을 경감시키거나 기분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은 그 중 하나이다. 또 운동이 신경계 접속과 구조 변화(신경가소성)를 일으킨다는 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는 것.
운동유발성 진통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 중인데,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통증이 있을 때에도 어느정도 운동을 하는 것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허리 통증을 줄이기 위한 운동에 대해서는, 특정 운동에 한해 허리 통증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어떤 운동이든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 그러나, 이것은 "무리해서 달려도 무거운 역기를 들어도 요통이 경감된다"라고 하는 것은 아니고, 부상을 피하기 위해서 운동은 무리가 없는 범위에서 실시하고, 서서히 강도를 높여 가는 것이 중요하다.
McDonough 씨 등은,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신이 즐기고 계속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당신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더 잘된다면 재발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몇시간 간격으로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하루 중 단시간의 운동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실시하는 등, 보다 일상적으로 많은 운동을 도입하는 간단한 방법도 많이 있습니다. 한 장소에서 가만이 있는 것을 줄이거나 스탠딩 데스크를 검토하십시오"라고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