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이나 백신을 거부하는 "백신 기피"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발생 전부터 WHO에 의해 "세계적인 건강에 대한 위협"의 톱 10 중 하나로 선정되어 있는 만큼, 공중 위생의 중대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사람이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이유에 대해 심리학 전문가가 설명하고 있는데....
호주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 "백신 접종을 받을 가능성은 없다", "혹은 "가능성은 낮다"고 응답한 호주인은 불과 9%였기 때문에, 이 나라의 미디어는 "백신에 대해 공포를 기억하는 사람은 기록적인 적은 수치다"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는 로스 멘지스 교수와, 같은 학교의 임상 심리사인 레이첼 멘지즈 씨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의료 종사자를 비롯한 교사나 건설 노동자 등 폭넓은 직업에서 백신 접종이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설문조사에서는 "백신의 접종에 기피감을 기억하는 사람이 적어졌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고 하는 것.
또한 호주에서는, 예방접종이 다 끝나지 않은 사람이 체육관, 수영장, 소매점, 미용실, 네일샵, 펍, 동물원, 영화관, 미술관, 갤러리 등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엄격한 제한 조치는 그렇게까지 하지 않으면, 호주에서 백신 접종자가 늘지 않을 것 때문이라고 멘지즈 씨들은 지적하고 있다.
WHO는, 백신 기피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현상에 대한 만족감"이라고 한다. 2021년 11월 현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세계 500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는 현상은 매우 만족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모순은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t theory)"이라는 이론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공포 관리 이론"이란, 죽음이라고 하는 참을 수 없는 공포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사람은, "자신은 정확하고 뛰어난 특별한 존재이다"라고 생각한다고 하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공포 관리 이론에 대해 검증한 164건의 논문을 메타 분석에 의해 분석한 2010년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해 생각한 사람은 자유와 문화적, 종교적 신념을 지키려는 방위 반응을 보일 수 있다라고 알려져있다.
자신이 뛰어나다고 믿는 사람은, "전문가의 의견보다 자신의 생각이 옳다"라고 생각하거나, "다른 사람은 죽을지도 모르지만, 자신은 반드시 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한다. 사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피해가 가장 큰 미국에서 실시된 조사에 의해, 어떠한 종교를 믿고 있는 미국인의 55%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이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지켜준다"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혼란스럽게 하기위해 자신의 정확성과 특별함에 고집한 결과, 그 사람은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과학자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어, 죽음의 위험을 줄여야 하는 백신에 대해서도 거부감을 기억하게 된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멘지스 씨는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려고 하지 않는 한 예방접종에 대한 주저함은 공중 보건상의 문제로 계속 될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