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 SNS나 게시판에서 입안에 눈이있는 개구리의 사진이 게시되어 화제가되고있다. 맨처음 이 사진이 나온것은 2016년 경이었지만, 그 후에도 매년 자주 게시되고있다.
과연 이 이미지는 진짜일까?
정말 입에 눈이있는 개구리는 존재하는가? 팩트 체크 사이트 "snopes"가 그 진위를 확인했다는데...
■ 입안에 눈이있는 개구리의 이미지
이 사진은, 2016년 말에, 기생충에 의한 돌연변이라는 짧은 글과 함께 처음으로 나돌다가, 최근 해외 게시판 reddit에 새롭게 게시되었다.
하지만 그 출처는 불분명하다.
이것뿐이라면 상당히 의심스러운데, 이상한 개구리의 이미지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사진 작가 인 스캇 가드너 씨가, 1992년경에 역시 입안에 눈이있는 개구리의 사진을 촬영했다.
■ 적어도 흑백 이미지의 개구리는 진짜
2014년에 BBC가 가드너 씨의 사진(오른쪽)에 대해 적었는데, 이 이상한 양서류는 1990년 초에 캐나다의 온타리오 주에서 두 소녀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설명.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두 소녀가 정원에서 이상한 황금 두꺼비를 발견했다. 생물학자가 복합 돌연변이라고 부르는 유전자 변이의 영향을 받은, 다른 곳에서는 없는 예라고 생각된다"
"복합 돌연번이라는 것은, 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로, 일련의 구조 유전자의 발현을 행하는 제어 유전자가 변이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적응 과정은, 작은 유전자 변이의 축적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지만, 생물학자는 복합 돌연변이가 특정 적응의 원인이 만날 가능성을 시사하고있다"
가드너는 "두꺼비와 나"라는 기사에서, 처음 이 개구리를 우연히 만났을 때를 이야기하고있다.
"이상한 개구리가 발견되었다고 연락을받았을 때의 일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때 나는, 여자 야구 경기를 촬영하기 위해 온타리오 주 벌링턴에 있었습니다"
"양방향 무전기가 울리고, 야구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이슈가 있기 때문에 현장으로 급히 출동하게 되었습니다. 입안에 눈이 있다는 희귀 개구리가 발견되었다는 것입니다"
"뭔가 잘못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면서, 불신의 마음을 품고 향했습니다. 확실히 말씀하신대로 개구리가 입을 열기를 기다렸다가 사진 촬영을 했습니다. 정말 이상했었습니다"
가드너의 사진은 다양한 출판물에서 언급되었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진화 생물 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1996년 저작 "Climbing Mount Improbable"에서였다.
어찌되었든지...적어도 흑백 사진은 진짜 인것 같다는.
■ 왜 개구리의 입에 눈이?
왜 이런 변이가 태어나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BBC는 기생충에 의한 감염의 결과가 아닐까 생각하고있다.
"이러한 변이의 원인은, Ribeiroia ondatrae라고하는 흡충 기생충에 의한 감염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기생충은 양서류의 다리 숫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리의 수가 적거나 기형이거나 불필요한 뒷다리가 붙어있거나 하는 것과 같은 현상을 일으킨다"
개구리의 입에 눈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이상한 일이지만, 발견 된 이 개구리의 복합 돌연변이는 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그렇게 터무니없이 떨어져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목. 다리의 기형을 일으키는 기생충 감염과는 조금 다르지 않을까...
실제로, 먹이를 먹을 때, 눈을 집어넣고 먹는 개구리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독특한 안구 작업에 대한 2004년 논문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개구리 등 무미류(양서류에 딸려, 자라면서 꼬리가 없어지는 개구리, 두꺼비 따위의 동물)의 대부분은 물건을 삼킬 때 눈을 집어넣거나 축소를 반복한다. 눈을 집어 넣어 먹이를 삼켜 식도로 보낼 때 도움이 될 가능성은 있지만, 이 가설은 아직 시험조사를 한 적이 없다.
표범 두꺼비(Rana pipien)가 삼킬 때의 안구 후퇴를, 행동 관찰, X선 영화 촬영법, 근전도 검사, 신경 절단 실험을 이용하여 평가 해 보았다.
"개구리에 1.5센티미터의 귀뚜라미를 먹이는 행동 관찰에서는, 눈의 철회 방법과 삼키는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의 후퇴는 두 눈으로도 한쪽 눈으로도 일어나고, 삼키는 운동과 안구 후퇴가 따로 따로 생길 수도있고, 동시에 일어나기도했다"
"삼킬 때, 안구에 관련된 근육 조직 중 인두쪽으로 상당히 후퇴하고, 삼킨 먹이에 간섭이 안되도록 한다는 것"
"이 접촉 상태가, 먹이를 식도로 밀어붙이는데에 도움이된다고 생각, 혀를 사용하면 먹이를 더 단단히 매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근전도 검사의 기록에서는, 눈을 철회하면 안구 주위의 근육의 수축이 강하게 활동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움츠리는 안구의 양쪽 신경을 절단 한 결과, 개구리의 삼키는 능력은 변하지 않았지만, 귀뚜라미 한 마리 당 필요한 삼키는 횟수는 74%나 증가했다.(일반적으로 귀뚜라미 한마리 당 평균 2.3회에서 4회정도)"
"이러한 결과로, 표범 두꺼비의 중간 크기의 귀뚜라미를 먹을 때에 안구가 묻히는 현상은, 기존의 혀를 사용하여 삼키는 작용을 보조하는 부속적 인 삼키는 메커니즘의 일환 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