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에서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인터넷 회선 속도를 체크 할 수있는 "Speedtest"가, 2018년의 인터넷 환경을 국가별로 나누어 정리 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는 "인터넷 환경이 세계에서 가장 쾌적한 나라는 어디?" 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에 고속 인터넷 환경이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인터넷 회선 속도는 다운로드와 업로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모바일 및 브로드밴드 등 종류도 분류할 수 있다. 광대역 및 모바일 회선 속도를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약 1년간, Speedtest Intelligence로 수집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 한 것이 "The World's Internet 2018"이다.
다음 자료는 모바일 회선의 평균 속도를 보여준다. 모바일 회선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22.82Mbps로, 업로드 속도는 9.19Mbps. 2017년도의 데이터와 비교하면, 다운로드 속도는 15.2% 고속화되었고, 업로드 속도는 11.6% 고속화되었다.
모바일 회선의 평균 속도를 Android 및 iOS에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 속도는 iOS가 27.84Mbps인 반면, Android는 21.35Mbps. 업로드 속도는 iOS가 10.6Mbps, Android가 8.73Mbps. 다운로드 업로드 모두 Android의 회선 속도가 늦다. 이것은 인터넷 회선 속도가 더 느린 신흥국에서 Android가 더 인기를 끌고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다운로드 속도 자체는, Android는 전년 대비 19% 증가, iOS는 전년 대비 15.1% 증가로 모두 통신 속도는 가속화하고 있다.
다음 자료는 고정 브론드밴드의 세계 평균 회선 속도를 보여준다. 다운로드 속도는 46.12Mbps, 업로드 속도는 22.44Mbps로 숫자로만 비교하면 고정 광대역 회선의 속도는 모바일 회선에 비해 2배 이상 빠른셈이다. 또한 회선 속도는 각각 전년 대비 다운로드 속도가 26.4% 증가, 업로드 속도는 26.5%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에 모바일 회선이 고속이었던 나라의 상위 5는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 속도가 빠른 순으로 노르웨이(63.19Mbps), 아이슬란드(58.68Mbps), 카타르(55.17Mbps), 싱가포르(54.71Mbps), 네덜란드(53.42Mbps).
2018년에 고정 광대역 회선이 고속이었던 나라와 지역은 다음의 5가지. 다운로드 속도가 빠른 순으로 싱가포르(175.13Mbps), 아이슬란드(153.03Mbps), 홍콩(138.31Mbps), 한국(114.67Mbps), 루마니아(109.9Mbps). 모바일 및 고정 광대역 모두에서 싱가포르와 아이슬란드가 톱 5에 들어가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인터넷 환경을 갖는 것은 이 두 나라라고 할 수있다.
전년 대비 모바일 회선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향상된 것은 다음 5개국. 전년 대비 다운로드 속도가 빨라진 코스타리카가 194% 증가(13.4Mbps), 미얀마가 121.8% 증가(21.81Mbps), 사우디 아라비아가 113.2% 증가(14.48Mbps). 코스타리카에 이르러서는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다운로드 속도가 빨라졌고, 극적으로 마바일 단말기에서의 브라우징이 편안하게 되었다.
또한, 전년 대비 모바일 회선의 평균 업로드 속도가 가장 높아진 것은, 방글라데시(179.2%), 우크라이나(172.5%), 코스타리카(163.4%), 미얀마(146.9%), 이라크(126.7%) 등 5개국이 쾌적하게 되었다.
다음의 데이터는 전년 대비 고정 광대역 회선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개선 된 5개국을 보여준다. 전년 대비 다운로드 속도가 빨라진 순으로 파라과이가 268.6% 증가(27.05Mbps), 기아나가(116.%), 말레이시아(95.2%), 벨리즈(88.9%), 이라크(76.8%) 이다.
모바일 회석 속도의 향상은, 세계적으로 4세대 이동 통신(4G)이 보급되어있는 것이 큰 원인이라고 할 수있다. 다음 지도는 4G 보급률을 지도 상에 나타낸 것으로, 색이 짙어 질수록 통신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또한 지도는 GIF 이미지이며 클릭하여 보급 단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이싿.
모바일 회선의 다운로드 속도가 빨라진 코스타리카와 사우디 아라비아, 미얀마는 4G의 보급이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지도는 750Mbps 이상의 고정 광대역 보급률을 나타낸 그림. 클릭하면 GIF 이미지가 오픈하고 보급률이 어떻게 확대해나갔는지 알 수 있다. 2017년에는 60개국에서 750Mbps 이상의 고정 브로드밴드 환경이 보급, 2018년에는 새롭게 16개국이 요구 사항을 충족했다.
또한, 도시별로 보면 750Mbps 이상의 고정 광대역 이용자가 가장 늘어난 것이 인도 뉴델리(16908% 증가), 인도 첸나이(7481% 증가), 프랑스 코르메유장파리지(6480% 증가), 폴란드 그단스크(6338% 증가), 이탈리아 로마(4909% 증가), 영국 랭커셔(3962% 증가), 일본 오사카(3240% 증가), 브라질 상파울루(2947% 증가), 중국 항주(2669% 증가), 루마니아 투루다(2636% 증가).
다음 이미지는 고정 브로드밴드 회선(Fixed)과 모바일 회선(Mobile)의 시간당 평균 데이터 사용량(MB)을 보여준다. 가장 데이터 사용량이 많아지는 것은 20~21사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