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을 앓고있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있다는 생각이 많이드는 요즘, 재채기,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있는 감기와는 달리, 그 답답함이 밖에서보고는 모르는 것이다.
하지만, 어쩌면 그 사람의 말투로 우울증인지 아닌지를 구별 할수 있을지도 모른다.
영국 레딩 대학의 심리학자, 무하마드 무사위 씨의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 인 사람들이 쓰는 말에는 세가지 특징이 았다고 한다.
무사위 씨가 명명 한 "우울증 어(language of depression)"의 특징은 "나는(자신)"을 많이 사용하고, "부정적" 단어, 그리고 "절대"의 집약적이다.
이 결과는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있는 수많은 우울증 사람들의 에세이와 블로그를 컴퓨터로 분석하고 판명한 것이다.
- 우울증의 사람들이 쓴 문장을 해석
지금까지도 우울증의 사람 특유의 언어를 탐구하는 연구는 이루어져 왔지만, 이전에는 연구자가 우울증의 사람의 글을 읽으면서 메모를 하는 아날로그 기법이 주류였다.
지금은 컴퓨터에 의한 언어 분석이 가능하며, 몇 분 안에 방대한 정보를 처리 할 수있게되었고, 인간이 놓칠 수 있는 말이나 특징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게되었다.
소스가 된 것은 우울증을 앓았던 시인, 실비아 플라스의 작품, 다른 인터넷에서 공개되는 우울증 사람들의 에세이와 블로그 등이다.
그것들을 언어 분석함으로써, 우울증 사람들이 사용하기 쉬운 단어와 어휘의 다양성, 문장의 길이의 평균치, 문법 패턴 등 다양한 것을 알 수있다.
그러면 우울증의 사람들이 쓰는 문장 등에 어떤 특징이 있었을까?
■ 우울증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우울증 어"의 3가지 특징
1. 부정적인 감정을 과도하게 표현하기
먼저 우울증의 사람이 쓴 것의 특징으로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과도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고 한다. "고독", "슬픈", "외로운", "비참한" 등 부정적인 형용사와 부사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2. "나", "자신"의 1인칭 대명사를 많이 사용
우울증의 사람은 "나는(I, me)" 나 "자신(myself)" 등 인칭 대명사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반대로 "그녀(she)"와 "그들(they)" 등 인칭 3인칭을 사용하는 것은 거의 하지 않았다.
이것은 자신에게 의식을 집중하고 타인과의 관계가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3. "절대", "완전"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
우울증의 사람이 쓴 글에는 "절대 주의적 인 말"이 매우 눈에 띄는 것 같다는.
64개의 정신 건강 시스템의 온라인 게시판에서 6400명 이상의 회원의 언어 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절대로" 및 "명확하게", "완전히" 등의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흑백 논리는 확실하게 하고 싶다"나 "0 또는 100가지" 등의 심리의 표현, 이러한 절대 주의적이고 완벽 주의적 인 생각이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